이번 강의는 동적 라우팅의 방법 중 하나인 RI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는 위와 같이 구성하겠습니다. 이때 이전에 배웠던 정적 라우팅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1. RIP
RIP는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로 UDP를 통해 동작하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RIP의 경우 Version이 3가지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네트워크 기초 강의에서 다루겠습니다. 오늘 사용할 RIP는 Version 2로, 한 라우터에서 Version 2를 사용하면 다른 라우터도 Version 2를 사용해야 라우팅이 가능합니다.
2. 실습
우선 라우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PC3에서 PC4에게 Ping을 보내보겠습니다.
R1(192.168.10.254)에서 해당 목적지로 가능 방법이 없다고 응답이 옵니다. 즉 R1은 PC4로 가는 방법을 모르는 것입니다.
이제 R1과 R2에서 RIPv2를 사용해보겠습니다. RIP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outer(config)#router rip
이렇게 입력하면 config가 config-router로, 라우터 설정모드로 진입합니다. rip의 기본 모드는 Version 1이기 때문에 Version 2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Router(config-router)#version 2
이제 어떤 네트워크를 Routing Table에 등록할지 입력해야 합니다. RIP는 Classful로 입력받기 때문에 Subnetting이 되었거나 Supernetting이 되었어도 IP의 Class에 맞게 등록해 주면 됩니다.
# R1
Router(config-router)#network 1.0.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 R2
Router(config-router)#network 1.0.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20.0
이때 1.1.1.0/24 대역대는 A Class를 C Class로 Subentting하였지만 입력은 A Class처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이후 라우터의 축약을 방지하는 Auto-Summary 기능을 꺼줍니다.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이제 다시 Ping을 사욯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초 1회는 안되는 듯 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마치며
이번 강의에서는 RIP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동적 라우팅 중 하나인 OSPF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 라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Routing(라우팅) -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0) | 2022.12.15 |
---|---|
라우터) Routing(라우팅)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0) | 2022.12.14 |
라우터) Routing(라우팅) - Default Routing(디폴트 라우팅) (0) | 2022.12.08 |
라우터) Routing(라우팅) - Static Routing(정적 라우팅) (0) | 2022.12.07 |
라우터) Router 설정 저장하기 (0) | 2022.12.07 |